해부생리학

헝가리 의대를 준비하기 위한 해부생리학27

baeconwithegg 2025. 3. 31. 21:39

오늘은27일차입니다. 아재개그로 시작을 해볼까 하는데요. 콩 한알을 영어로 하면 뭔지 아시나요? 원빈입니다. 감사합니다.

 

4.4근육조직

근육조직(muscle tissue)의 중요한특성은 움직일 수 있는 수축력을 갖고 있는 것이다. 근육수축은 근육세포 내에 있는 수축단백질 때문에 가능하다. 근육세포는 가느다란 실 모양을하기 때문에 근육섬유(muscle fiber)라고 불리운다. 근육조직에는 뼈대근육, 심장근육 및 민무늬 근육이 있다.

 

뼈대근육

뼈대근육(skeletal muscle)은 수의근이라고도 불리며 우리가 보통 근육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뼈에 부착되어 인체 운동을 일으키고, 의도적으로 뼈대근육을 수축함으로써 특정한 몸의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신경계통은 뼈대근육이 의도하지 않아도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뼈대근육은 세포가 여러 개의 핵을 지니며 길고 원통 모양으로 생겼다. 몇몇 뼈대근육 세포들은 근육 전제에 걸쳐서 뻗어 있다. 뼈대근육세포들은 세포 내에 있는 수축단백질의 배열 때문에 가로줄무늬(striated)가 나타난다.

 

심장근육

심장근육(cardiac muscle)은 심장의 근육이다. 심장은 혀액을 펌프작용하는 능력이 있고, 이 근육은 불수의적으로 조절되지만 명상이나 생체 자기제어(biofeedback)와 같은 심장 박동수에영향을 주는 방법을 배울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원주 모양을 하지만 뼈대근육에 비해 짧다. 심장세포근육은 한개의 핵을 가지며 가로줄무늬를 띠며 사이원반(intercalated disks)에 의해서 가지를 치거나 연결되어 있다.사이원반들은 많은 기체의 심장근육세포들이 한 단위로서 기능을 하도록 협동적 수축작용을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민무늬근육

민무늬근육(smooth muscle)은 심장을 제외한 속빈장기의 벽을 형성하며 피부와 눈에서도 발견된다. 민무늬근육은 소화관을 통한 음식물의 이동이나 방광의 속공간을 비우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민무늬근육의 끝은 뾰족하며 한 개의 핵을 갖고, 가로줄무늬가 없다.

 

4.5 신경조직

 

신경조직(nervous tissue)은 뇌, 척수, 신경을 형성하며 인체의 많은 활동을 통합시키거나 조절하는 능력이 있다. 예를 들면, 신경조직은 뼈대 근육의 수의적인 억제와 심장근육의 불수의적인 조절작용을 한다. 우리의 의식, 정서, 추리능력 같은 기능들은 신경 세포들의 교통작용 능력에 좌우되며 활동전위(action potential)라고 불리는 전기적인 신호작용에 의해 다른 조직들에 영향을 미친다. 

 

신경조직은 활동전위의 전도 능력을 갖는 신경세포와 버팀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신경세포(neuron, nerve cell)는 활동전위를 전도한다. 신경세포는 세 부분으로 나뉘는데 세포체, 가지돌기, 축삭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체(cell body)는 핵을 갖고 있고 일반적인 세포기능을 수행하는 곳이다. 가지돌기(dendrite)와 축삭(axon)은 신경세포의 세포돌기이다. 가지돌기는 일반적으로 활동전위를수용하여 세포체로 전도, 신경세포마다 한 개로 되어 있는 축삭은 일반적으로 세포체로부터 받은 활동전위를 전도한다. 활동전위는 일반적으로 세포체와 축삭이 연결되고 축삭의 끝까지 이어지는 축삭의 기저부에서 시작된다. 신경아교세포(neurogila)는 신경조직을 지지하며 신경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고 보호하며 절연 기능이 있다. 

 

4.6 막

 

막(membrane)이란 어떤 구조물을 덮거나 속공간을 덮고 있는 얇은 조직의 판이거나 층이다. 대부분의 막은 상피로 싸여 있는 결합조직이나 상피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부(skin)또는 피부막(cuataneous membrane)은 바깥막이다. 피부는 중층편평상피와 치밀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속막의 세 가지 주요 범주는 점막, 장막과 윤활막이다. 

 

점막

점막(mocous membrane)은 두꺼운 성긴결합조직층을 덮고있는 여러 종류의 상피들로 구성되어 잇다.이들 상피들은 소화기관, 호흡기관, 배설기관, 생식기관과 같은 몸 밖으로 열려 있는 기관의 속공간을 덮고 있다. 점막의 기능은 점막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지만, 점막에는 보호, 흡수와 분비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장막

장막(serous membrane)은 얇은 성긴결합조직층에 의존하고 있는 단층편평상피로 구성되어 있다. 장막은 몸통 안을 감싸고 있고 그 공간에 있는 기관을 덮고 있다. 장막은 장액을 분비하고, 장액의 윤활성질과 결합되어서 찰과상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한다.

 

장막은 자신이 위치하는 곳의 이름을 따른다. 가슴막(pleural membrane)은 허파와 관계 있으며, 심장막(pericardial membrane)은 심장과 관계가 있고, 배막(peritoneal membrane)은 배골반안에 위치한다. 구조 이름에 -itis가 첨가되며, 그 구조에 염증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심낭염(pericarditis)와 배막염(peritonitis)은 각각 심장막과 배막의 염증을 나타낸다. 가슴막염(pleurisy)은 가슴막의 일종이다.

 

윤활막

윤활막(synovial membrane)은 결합조직으로만 구성된다. 윤활막은 관절이 안쪽을 감싼다. 윤활막은 윤활액(synovial fluid)을 생산하며, 윤활액은관절을 매우 부드럽게 하고 그걸로 마찰이 줄어들고 관절 속에서의 원활한 움직임을 허용한다.

 

--단어--

근육조직(muscle tissue)
근육섬유(muscle fiber)
뼈대근육(skeletal muscle)
가로줄무늬(striated)
심장근육(cardiac muscle)
생체 자기제어(biofeedback)
사이원반(intercalated disks)
민무늬근육(smooth muscle)
신경조직(nervous tissue)
활동전위(action potential)
신경세포(neuron, nerve cell)
세포체(cell body)
가지돌기(dendrite)
축삭(axon)
신경아교세포(neurogila)
막(membrane)
피부(skin)
피부막(cuataneous membrane)
점막(mocous membrane)
장막(serous membrane)
가슴막(pleural membrane)
심장막(pericardial membrane)
배막(peritoneal membrane)
심낭염(pericarditis)
배막염(peritonitis)
가슴막염(pleurisy)
윤활막(synovial membrane)
윤활액(synovial flu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