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생리학

헝가리 의대를 준비하기 위한 해부생리학22

baeconwithegg 2025. 3. 26. 20:47

오늘은 22일차 입니다. 이제 슬슬 귀찮음이 몰려오나 봅니다. 하지만 힘내야죠 "고생 끝에 낙이 있다." 이런 말도 있지 않습니까, 모두 힘내봅시다. 오늘은 내일 할 부분에 설명이 좀 어려운 부분 같아 나눠서 하려다보니 오늘 내용을 너무 짧게 잡았네요.

 

4.2 상피조직 

상피(epithelium) 또는 상피조직(epitheilal tissue)은 몸 전체의 바깥면과 속면을 덮는다. 몸의 표면은 피부의 바깥층과 소화관, 호흡통로, 혈관과 같은 빈 공간을 덮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대부분의 샘도 형성한다. 상피는 아주 적은 양의 세포바깥물질을 지닌 세포로 구성된다. 대부분의 상피들은 다른 세포들과 접촉하지 않는 자유면(free surface)과 조직에 상피세포를 붙히는 바닥막(basement membrane)을 가지고 있다.

 

바닥막의 일부분은 상피세포가 분비하고 일부분은 상피 아래 조직세포에서 분비된다. 단백질 분자의 망과 함께 바닥막에 부착된 다른 분자로 구성된다. 물질은 상피를 통과하고 바닥막도 역시 통과한다. 이는 여과장치로써의 기능, 세포이동의 장벽으로써의 기능이 있다. 

 

혈관은 밑에 있는 조직으로부터 상피로 확장되지 않기 때문에 가스와 영야분은 혈관이 많은 밑에조직에서 바닥막을 넘어 확산된다. 상피세포의 노폐물은 바닥막을 지나 혈관으로 확산된다.

 

상피의 가능

- 밑에 있는 구조를 보호 

-장벽으로써 작용해 많은 물질이 상피를 지나는 것을 방지

-물질의 통과를 허용.

-물질을 분비

-물질을 흡수

이러한 많은 기능이 있다.

-----단어---

상피:epithelium

상피조직:epithelial tissue

바닥막:basement membra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