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생리학

헝가리 의대를 준비하기 위한 해부생리학35

baeconwithegg 2025. 4. 9. 19:33

오늘은 35일차입니다. 이제는 딱히 할 말도 없네요. 제가 축구를 좀 보는데 오늘 아스날이 3대0으로 이기게 되서 조금 신기합니다. 3대0으로 이긴것은 조금 신기하네요.

 

6.1 뼈대계통의 기능 

우리가 움직이는 모든 행동들은 뼈대계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뼈대계통은 여러 뼈들과 연골, 힘줄, 인대 등의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 뼈대(skeleton)라는 용어는 건조한 이라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다. 하지만 뼈대는 건조하지 않고 죽어있지도 않은 살아있는 조직이다.

 

관절(joint, articulation)은 이웃한 두 개의 뼈 사이를 일컽는 말이다. 대부분의 관절은 운동성이 높지만, 그렇지 않은 관절도 존재한다. 이러한 관절은 움직임의 정도에 관련이 있다.

 

뼈대계통은 몸을 지지하는 구조로서 많이 생각되고 있지만, 다른 여러 기능을 가지고 있다.

 

1. 지지(support) 뼈는 체중을 전달하는 데 매우 적합하며, 몸을 지지하는 주요 구조이다. 연골(cartillage)은 견고하면서 연한 지지구조로 대표적으로 코, 바깥귀, 가슴우리, 기관 등이 있다. 인대(ligament)는 섬유결합조직으로 이루어진 강한 띠의 구조로서 뼈들을 잡아준다.

 

2. 보호(protection) 뼈는 그 안에 둘러싸인 장기를 보호하는데, 예시로 머리뼈(skull)가 뇌를 둘러싸 보호하고, 척추뼈(vertebrae)는 척수를 보호하며, 가슴우리(rib cage)는 심장, 허파를 보호한다.

 

3. 운동(movement) 뼈대근육(skeletal muscle)은 강한 띠 형태의 결합조직인 힘줄(tendon)을 통해 뼈에 붙는다. 뼈대근육이 수축하여 뼈가 움직이면 몸의 운동이 일어나며, 두 개 이상의 뼈가 근처의 관절에서 그 운동이 일어나는 것이다. 일부 관절에는 연골이 붙어있기도 하다.

 

4. 저장(storage) 주로 칼슙(calcium), 인(phosphrous)과 같은 혈액 속의 무기질이 뼈에 저장된다. 반대로 혈액 속의 농도가 떨어지면 뼈에 저장되었던 무기질이 혈액으로 유리된다. 지방세포는 뼈의 골수공간(medullary cavity)에 축적된다.

 

5. 혈구형성(blood cell production) 대부분 뼈의 골수공간은 적색골수(red bone marrow)로 채워져 있으며, 이곳에서 혈구세포와 혈소판을 만든다.

 

6.2 세포바깥바탕질

뼈대계통의 뼈, 연골, 힘줄, 인대는 모두 결합조직이다. 이는 세포바깥바탕질(extracellular matrix)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바탕질(matrix)에는 물과 무기질뿐만 아니라 콜라겐(collagen), 바탕질(ground substance), 기타 유기물 분자들이 들어 있다. 결합조직의 종류에 따라 그 구성성분이 조금씩 다르다.

 

콜라겐(collagen)은 밧줄 형태의 단백질이다.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은 다당류(polysaccharide)와 핵심단백질(core protein)로 이루어진 큰 분자다. 이는 모여서 큰 덩어리를 형성하고, 다당류로 이루어진 뾰족한 수많은 가시들 사이에 많은 양의 물을 끌여당길 수 있다.

 

힘줄(tendon)과 인대(ligament)의 세포바깥바탕질에는 많은 양의 콜라겐 섬유가 들어 있어서 질기다. 연골(cartillage)의 세포바깥바탕질도 콜라겐과 프로테오글리칸이 들어있는데, 콜라겐은 연골을 질기게 만들고, 프로테오글리칸은 물을 가지고 있어 연골을 부드럽게 만든다. 그렇기 때문에 연골은 단단하면서 부드러워졌다.

 

뼈의 세포바깥바탕질에는 무기질 또한 들어있는데, 뼈의 무기질은 수산화인회석(hydroxyapatite)이라는 인산칼슘결정(calcium phosphate crystal)의 형태로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