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생리학

헝가리 의대를 준비하기 위한 해부생리학42

baeconwithegg 2025. 4. 18. 23:13

오늘은 42일차 입니다. 오늘의 아재개그 하나 해보겠습니다. 구명보트에는 몇명이 탈 수 있을까요? 9명 탈수 있답니다. 감사삽니다. 오늘부터 글을 쓰며 생각을 해보았는데, 이미지를 같이 보는것이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미지를 첨부하려고 합니다.

팔과 팔이음뼈

팔이음뼈

 

팔이음뼈(pectoral girdle, shoulder gidle)는 2개의 어깨뼈(scpula)와 2개의 빗장뼈(clavicle)로 구성되어 있고, 팔뼈를 몸통과 연결해준다. 어깨뼈(scapula)는 팔과 연결된 근육들이 붙는 3개의 큰 오목(fossa)을 가진 평평한 삼각형 모양의 뼈이다. 빗

장뼈(clavicle)는 어깨뼈의 봉우리와 연결되어 있다. 빗장뼈의 몸쪽끝(proximal end)은 복장뼈(sternum)와 부착하고, 먼쪽끝(distal end)은 어깨뼈와 관절하는 유일한 뼈 부착지점을 제공한다. 또한 이 뼈는 태아에서 제일 처음 뼈되기(ossification)가 시작되는 곳이다.

 

팔(upper limb)은 위팔(arm), 아래팔(forearm), 손목(wrist), 손(hand)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팔뼈

위팔

위팔(arm)은 어깨와 팔굽 사이에 위치하며 위팔뼈(hymerus)가 있다. 위팔뼈의 몸쪽끝은 부드럽고 둥근 머리(head)가 있으며 이것은 어깨뼈의 접시오목에 붙어있다. 위팔뼈 머리의 가장가리를 해부목(anatomical neck)이라 한다. 머리의 가쪽에는 큰결절(greater tubercle)과 작은결절(lesset tubercle)이라는 2개의 결절이 있다. 어깨뼈에서 이는 근육들의 큰결절과 작은결절에 부착하며 위팔뼈를 어깨뼈에 붙어있게 한다. 거의 위팔뼈몸통의 1/3 지점 가쪽면에는 어깨세모근(deltoid muscle)이 부착되는 세모근거친면(deltoid tuberosity)이 위치한다.

 

아래팔

아래팔(forearm)은 새끼 손가락 쪽에 자뼈(ulna), 엄지 손가락 쪽에 노뼈(radius)로 구성되어 있다. 자뼈의 몸쪽끝은 도르래패임(trochlear)이 형성되어 있는데 위팔뼈의 끝부분에 맞물려서 팔꿈관절을 이룬다. 자뼈에서 도르래패임의 바로 몸쪽으로 확장된 부분을 팔꿈치머리(olecranon process)라 하며 팔꿈관절의 뾰족한 끝으로 만질 수 있다.

 

도르래패임의 먼쪽에는 갈고리돌기(coronoid process)가 있고 이것은 위팔뼈의 먼쪽끝을 자뼈가 완벽이 붙잡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자뼈의 먼쪽끝은 머리를 형성하고 손목뼈(bones of wrist)와 붙어있어 먼쪽끝의 안쪽에는 붓돌기(styloid process)가 위치한다. 자뼈머리는 손목의 뒤쪽에서 자뼈측에 돌출된 덩어리로 만져질 수 있다.

 

노뼈의 몸쪽끝은 위팔뼈와 노뼈 모두와 붙어있는 머리가 있다. 노뼈머리의 바로 밑에 노뼈거친면(radial tuberosity)이 있고 여기에는 팔 근육 중 하나인 위팔두갈래근(biceps brachii)이 부착한다.

 

노뼈의 먼쪽은 손목뼈와 붙어있다. 붓돌기는 노뼈의 먼쪽끝 가쪽에 위치한다. 노뼈와 자뼈의 붓돌기는 손목의 인대들이 부착할 공간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