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생리학

헝가리 의대를 준비하기 위한 해부생리학13

baeconwithegg 2025. 3. 11. 21:07

삼투

삼투(osmosis)는 세포막과 같은 선택적 투과막을 경계로 농도가 낮은 곳에서 농도가 높은곳으로 물(용매)이 확산하는 것이다, 

물은 극성 분자이지만, 크기가 충분히 작아서 인지질 분자 사이 또는 물 통로를 지나서 세포막을 통과하여 지나갈 수 있다. 

삼투는 세포막이 선택적 투과성이여서 용질이 이동하지 못할 때, 물에 대한 농도 차이가 세포막을 가로질러서 존재할 때 일어난다. 

 

삼투압(osmotic pressure)은 선택적 투과성을 가로지르는 물의 이동을 방해하는 데 필요한 힘이다. 삼투압을 측정하는 방법은 아래가 선택적 투과막인 플라스크 안에 용액을 넣고 증류수에 넣어 측정한다. 이때 삼투에 의해 물 분자는 투과막을 통과해 플라스크로 들어가게 되고, 용액에 힘을 가해 플라스크 속 엑체를 상승시킨다. 용액의 무게는 정수압(hydrestatic pressure)을 만든다. 여기서 정수압이란 정지상태의 유체 속에 작용하는 물의 압력을 말한다. 

 

세포를 용액 안에 두었을 때, 용액과 세포의 세포질 사이의 농도 차이에 따라 세포의 모양이 변화한다. 저장액(hypothetic solution)은 세포의 세포질에 비해 용질의 농도가 낮고 용매의 온도가 높다. 따라서 용액은 세포보다 작은 삼투압을 갖는다. 물은 삼투에 의해 들어가고 세포가 부풀게 되며 파열되는 과정을 용해(lysis) 세포를 등장액(isotonic solution)에 담그면 세포의 용질, 용매의 농도가 같아 세포는 정상의 상태를 유지한다. 

 

고장액(hypertonic solution)에 담그면, 물은 삼투압에 따라 밖으로 빠져나가게 되면서 세포가 쭈그러들거나 무딘톱날모양(crenation)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