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대 19

헝가리 의대를 준비하기 위한 해부생리학34

오늘은 34일차 입니다. 요새 한달이 넘어가니 이제 쓰는게 일상처럼 느껴지네요. 오늘의 아재개그 하나 투척합니다. 달에서 쓰는 언어는? 문어입니다. 감사합니다. 5.6 진단보조 프로그램으로서의 외피계통외피계통은 관찰하기 쉽고, 종종 신체의 다른 부위에서 유발되는 질환 및 증상이 피부에 나타나기 때문에 신체의 질환과 질병의 진단에 유용하다. 또한 피부에 나타나는 발진과 병변은 신체 다른 곳에 있는 질환의 징조라고 볼 수 있다. 5.7화상화상(burn)은 열, 추위, 마찰, 화학물, 전기 도는 방사선에 의해 유발되는 조직손상이다. 이는 조직의 손상깊이에 따라 분류된다. 부분화상(partial-thickness burn)은 표피가 살아있고 조직의 재생이 화상을 입은 모든 곳에서 되는 것이다. 이는 1도 화상과..

해부생리학 2025.04.08

헝가리 치대를 준비하기 위한 해부생리학33

오늘은 33일차 입니다. 숫자가 좀 깔끔하니 좋네요. 오늘은 조금 짧을 것 같습니다. 5.5 외피계통의 생리학 보호외피계통은 많은 역할을 한다.1. 손상되지 않은 피부는 수분 확산에 대한 장벽을 역할을 해 체엑손실을 방지해 준다. 2. 피부는 미생물과 인체에 침입하는 다른 외부물질로부터 신체를 보호한다.  3. 피부의 중층편평상피는 마모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가진다. 4.멜라닌 색소는 자외선을 흡수하고 자외선의 손상으로부터 피부조직을 보호한다. 5. 털은 다양한 방법으로 보호기능에 기여한다. 머리카락은 열 손실을 방지하고, 눈썹은 눈동자에 물기가 마르지 않게 하며, 코,퀴의 털은 먼지나 다른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6. 손,발톱은 외부로부터의 손상에 대하여 손가학 및 발가학 끝부분을 보..

해부생리학 2025.04.07

헝가리 의대를 준비하기 위한 해부생리학31

오늘은 31일차 입니다. 제가 평소에 농구를 좋아하는데 요새 농구를 좀 못하는 것 같아 좀 그렇네요. 5.2 피부피부는 표피 및 진피와 같은 두 가지 주요한 조직층으로 만들어진다. 표피(epidermis)는 피부의 가장 표층에 위치하며, 진피(dermis) 위에 있는 치밀결합으로 구성된 상피층이다. 표피와 진피의 두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데, 일반적으로는 진피가 표피에 비해 10~20배 정도 두껍게 형성된다. 표피는 체액의 손실을 예방하고, 마모에 강하고 진피는 대부분 피부의 구조적 강도를 담당하는 층이다.  피부는 결합조직층은 피부밑조직(subcutaneous tissue)의 위에 있다. 피부밑조직은 피부의 일부분이 아니라 피부를 근육과 뼈에 고정시켜주는 층이다.  표피표피(epidermis)는 중층편..

해부생리학 2025.04.04

헝가리 의대를 준비하기 위한 해부생리학30

이제 30일, 한달 차가 되었습니다. 달라진 건 없죠, 열심히 해야겠습니다.  5.1 외피계통의 기능 외피계통(intergumentary system)은 피부와 털, 샘, 손, 발톱 등과 같은 부속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피는 덮개를 의미하고, 외피계통은 몸의 외부를 덮고 있으며, 쉽게 관찰되기 때문에 모든 사람들에게 익숙하다.  외피계통의 외형은 몸의 생리적인 불균형을 나타낼 수 있다. 여드름이나 사마귀와 같은 일부의 질환은 주로 외피계통에만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다른 질환들은 인체의 다른 부위에 영향을 미치지만, 외피계통에 그 증상이 나타나므로 질환의 진단에 유용한 신호로 활용된다.  외피계통은 여러가지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1.보호. 피부는 찰과상과 자외선에 대한 보호작용을 한다. 피부계..

해부생리학 2025.04.03

헝가리 의대를 준비하기 위한 해부생리학29

오늘은 29일차입니다. 이제 기숙사를 나오게 되었는데 가보니 아침을 먹을 시간이 되서 아침만 신청했습니다. 아침을 가서 먹으니 기숙사에 있는 느낌이 나더라구요. 오늘도 5챕터 가기 전에 다 끝내고 가는거지만 저저번 시간부터 내용을 많이 밀어놓았기 때문에 적을 것 같습니다. 4.8 조직재생 조직재생(tissue repair)은 죽은 세포 대신에 생존 가능한 세포로 대치하는 것이다. 조직 재생은 재생에 의하거나 또는 섬유화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재생(regeneration)은 새 세포가 파괴된 세포와 같은 종류이고, 대개 일반적으로 정상 기능이 회복된다. 섬유화(fibrosis)혹은 새로운 형태의 조직 대체는 결국 흉터가 생기는 이유가 되고 일부 조직의 기능상실의 원인이 된다. 침범된 조직과 상처의 깊이..

해부생리학 2025.04.02

헝가리 의대를 준비하기 위한 해부생리학28

오늘은 28일차입니다. 일수로는 4주, 거의 한달 가까이 적고 있네요. 4.7 조직손상과 염증 염증(inflammation)은 조직이 손상될 때 일어난다. 염증은 칼에 베었을 때와 같은 외상에 즉각적이고 고통스러운 사건의 결과로도 나타난다. 염증은 신체의 방어기능을 동원하고 미생물, 이물질과 손상받은 세포들을 격리 또는 파괴함으로써 조직 재생을 지속하도록 한다. 염증은 발적, 열, 종창, 통증, 기능장애를 일으킨다. 손상이 일어난 다음에 화학 매개체(chemical mediator)라 불리는 물질이 손상된 조직과 근처의 혈관에서 방출되거나 활성화된다. 화학 매개체에는 히스타민(histamine)과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이 포함된다. 일부 매개체는 열을 생산하는 혈관 확장의 원인이 된다...

해부생리학 2025.04.01

헝가리 의대를 준비하기 위한 해부생리학27

오늘은27일차입니다. 아재개그로 시작을 해볼까 하는데요. 콩 한알을 영어로 하면 뭔지 아시나요? 원빈입니다. 감사합니다. 4.4근육조직근육조직(muscle tissue)의 중요한특성은 움직일 수 있는 수축력을 갖고 있는 것이다. 근육수축은 근육세포 내에 있는 수축단백질 때문에 가능하다. 근육세포는 가느다란 실 모양을하기 때문에 근육섬유(muscle fiber)라고 불리운다. 근육조직에는 뼈대근육, 심장근육 및 민무늬 근육이 있다. 뼈대근육뼈대근육(skeletal muscle)은 수의근이라고도 불리며 우리가 보통 근육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뼈에 부착되어 인체 운동을 일으키고, 의도적으로 뼈대근육을 수축함으로써 특정한 몸의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신경계통은 뼈대근육이 의도하지 않아도 움직이게 할..

해부생리학 2025.03.31

헝가리 의대를 준비하기 위한 해부생리학26

오늘은 26일차입니다. 벌써 일수로는 3주일치를 바라보고 있네요. 오늘부터 2페이지씩 하게 되어서 양이 기네요. 결합조직의 분류 결합조직의 형태는 크게 배아결합조직과 성긴결합조직으로 나뉜다. 발생 8주가 되면 대부분의 배아결합조직은 성인에서 볼 수 있는 결합조직의 형태를 형성해 분화된다. 성긴결합조직은 3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각 고유결합조직, 지지결합조직, 엑체결합조직이다. 고유결합조직 성긴결합조직성긴결합조직(loose connective tissue)은 그물 모양으로 형성되고 많은 공간이 바탕질과 엑체로 채워지며, 단백질 섬유가 상대적으로 적다. 세 가지 하위 구분으로는 성근조직, 지방조직, 그물조직이 있다. 성근조직(areolar tissue)은 세포바깥바탕질 대부분이 아교섬유이고 탄력섬유는 ..

해부생리학 2025.03.30

헝가리 의대를 준비하기 위한 해부생리학25

오늘은 25일차 입니다. 오늘부터는 양을 조금씩 늘려서 해보겠습니다.  샘샘(gland)은 표면 쪽으로, 속공간으로 또는 혈액 속으로 물질을 분비하는 구조이다. 대부분의 샘들은 일차적으로 상피로 구성되어 있다. 관을 갖는 샘을 외분비샘(exocrine gland)이라고 부르고 이 중에서 단순샘(simple gland)은 한 개의 관이 있지만 가지는 없고. 복합샘(compound gland)은 여러 개의 관과 많은 가지를 갖는다.어떤 샘은 분비 부위가 대롱샘(tubular gland)으로 관의 지름이 일정하고 곧으며 어떤 샘은 나선 모양이다. 분비주의 끝부분이 확장되어 주머니 모양의 구조를 꽈리샘(acinar gland)이라고 한다. 일부는 꽈리샘과 대롱샘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외분비샘은 생성물이 어떻게..

해부생리학 2025.03.29

헝가리 의대를 준비하기 위한 해부생리학24

오늘은 24일차 입니다. 오늘부터 공부를 위해 기숙사를 그만두기로 했습니다. 학교생활동안 계속 기숙사에 있었는데 이번에 기숙사를 나오게 되어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구조와 기능의 연관성세포층과 세포 모양특정 형태의 상피에서 세포층 숫자와 세포의 모양은 상피가 수행하는 기능을 반영한다. 두가지의 중요한 기능이 있는데, 물질의 이동을 조절하고 밑에 있는 조직을 보호하는 것이다. 한 층의 세포로 이루어진 단층상피는 물질을 이동시키는 원초적인 기능을 가진 기관에서 발견된다. 기능에서의 차이는 세포 모양을 반영한다. 허파꽈리에서의 확산 혹은 콩팥토리의 여과 기능을 수행하는 세포는 보통 납작하고 얇다. 분비 혹은 흡수를 주기능으로 하는 세포는 보통 입방 혹은 원주형태이다. 콩팥세관에 있는 단층입방상피세포는 분비 혹..

해부생리학 2025.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