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생리학

헝가리 의대를 준비하기 위한 해부생리학31

baeconwithegg 2025. 4. 4. 22:26

오늘은 31일차 입니다. 제가 평소에 농구를 좋아하는데 요새 농구를 좀 못하는 것 같아 좀 그렇네요.

 

5.2 피부

피부는 표피 및 진피와 같은 두 가지 주요한 조직층으로 만들어진다. 표피(epidermis)는 피부의 가장 표층에 위치하며, 진피(dermis) 위에 있는 치밀결합으로 구성된 상피층이다. 표피와 진피의 두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데, 일반적으로는 진피가 표피에 비해 10~20배 정도 두껍게 형성된다. 표피는 체액의 손실을 예방하고, 마모에 강하고 진피는 대부분 피부의 구조적 강도를 담당하는 층이다.  피부는 결합조직층은 피부밑조직(subcutaneous tissue)의 위에 있다. 피부밑조직은 피부의 일부분이 아니라 피부를 근육과 뼈에 고정시켜주는 층이다. 

 

표피

표피(epidermis)는 중층편평상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가장 아래층에서 새로운 세포가 유사분열에 의해 만들어진다. 새로운 세포가 형성되기 때문에 오래된 세포는 표면쪽으로 밀려나고, 탈락하거나 벗겨져 떨어진다. 가장 바깥쪽의 세포는 그 아래 깊은 곳의 세포를 보호하고, 복제된 세포는 표면으로부터 소실된 세포를 대체한다.

 

이러한 세포들이 복제와 성장 및 이동과정 동안 각 세포는 모양과 화학적 구성이 변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세포를 단단하게 만드는 케라틴(keratin)단백질이 채워지기 때문에 각질화(keratinization)라 부른다. 

 

각잘화가 연속적인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세포층(strata)이라 불리는 뚜렷한 층을 표피에서 볼 수 있다. 가장 깊은층인 바닥층(stratum basale)은 보통 19일마다 유사분열을 하는 입방 또는 원주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각질층(stratum corneum)은 표피의 가장 바깥쪽 층이며, 케라틴으로 채워진 죽은 편평상피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부착반점에 의해 세포로 연결되어 있다. 하지만 결국에는 분리가 된다. 머리 피부의 표면에서 탈락된 각질층을 비듬이라 한다. 

 

마찰을 많이 받아 피부의 일부분이 부꺼워지는 구역이 있는데, 이를 굳은살(callus)이라 한다. 뼈돌기 윗부분의 각질층이 두꺼워지면, 티눈(corn)이라 불리는 원뿔 모양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진피

진피(dermis)는 섬유모세포, 지방세포, 큰포식세포 등 많은 종류의 세포들이 포함된 치밀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신경, 털주머니, 민무늬근육, 샘, 림프관 등이 진피의 안까지 확장되어 있다.

 

아교질과 탄력섬유는 진피의 구조적 강도를 담당하는 구성성분이다. 진피는 가죽부분으로 진피의 아교섬유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이것은 피부에 피부할선(cleavage lines)또는 장력선을 만들고, 이것은 피부할선을 따라 가해지는 장력에 강한 특징을 가진다. 예시로는 임신선, 살트임(stretch marks)이라 불리는 이러한 선은 신체의 일부가 급격하고 빠르게 성장하거나 커질 때 발생할 수 있다.

 

진피의 윗부분은 표피방향으로 확장된 진피유두(dermal paillae)라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다. 진피유두는 표피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제거하며, 체온의 조절을 돕는 혈관을 많이 가지고 있다. 

 

피부색

피부색은 피부의 색소, 피부를 통한 혈액순환 및 각질층의 두께에 의해 결정된다. 멜라닌(melanin)은 주로 피부, 털, 눈의 색깔을 결정짓는 주된 색소이다. 대부분의 멜라닌 분자는 갈색에서 검은색 색소지만, 일부는 황색 또는 붉은색을 띈다. 이는 또한 자외선을 차단하는 물질이다.

 

멜라닌은 표피의 깊은층에 위치하고, 상피세포 사이로 연장된 긴 돌기를 가진 불규칙한 모양의 멜라닌세포에 의해 생성된다. 멜라닌세포의 골지복합체는 멜라닌소체(melanosomes)라는 소포에 멜라닌을 포장하고, 멜라닌세포의 세포돌기로 이동한다. 이 후 상피세포는 멜라닌세포의 돌기 끝을 포식하고, 그것에 의해서 멜라닌소체를 함유하게 된다. 그러나 표피의 모든 상피세포가 멜라는 색소를 함유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멜라닌세포만이 멜라닌을 생성한다. 

 

멜라닌 색소의 형성은 유전적인 요인, 노출된 빛의 양, 호르몬에 의해 결정된다. 유전적 요인은 인종간의 멜라닌 색소 생렁량에 차이를 나타내 피부색이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