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생리학

헝가리 의대를 준비하기 위한 해부생리학47

baeconwithegg 2025. 4. 24. 20:00

오늘은 47일차입니다. 어제는 제가 너무 게을렀네요. 오늘 새로운 부분 본격적으로 하는 만큼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7.2 뼈대근육의 특징

 

성인의 뼈대근육(skeletal muscle)은 체중의 약 40%를 차지하며, 이 이름은 근육의 대부분이 뼈대계통에 부착하기 때문에 이렇게 지어진 것이다. 뼈대근육의 특징은 크게 4가지로 나뉜다.

1. 수축성(contractility)

뼈대근육이 힘을 발휘하며 길이가 짧아지는 것을 말하며 수축하게 된다면 근육에 붙어있는 구조물이 움직인다. 

2. 흥분성(exocitability)

자극에 의해 뼈대근육이 반응하는 것이다.

3. 확장성(extensibility)

뼈대근육이 늘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4. 탄력성(elasticity)

뼈대근육이 늘어났을때에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오는 것을 뜻한다.

 

뼈대근육의 구조

 

근육을 덮는 결합조직

각 뼈대근육은 근육바깥막(epmysium) 또는 근막(muscular fascia)같은 결합조직에 둘러싸여 있다. 근육다발막(perimysium)에 둘러싸인 근육다발(muscular fasciculus)묶음이 근육을 형성하며, 근육다발은 근육섬유라고 불리는 근육세포(muscle fiber)로 구성된다. 

 

근육섬유의 구조

근육세포는 여러개의 핵이 주변에 치우쳐 있는 한 개의 원기둥 모양 섬유이다. 근육섬유를 싸고 있는 막을 근육세포막(sarcolemma)이라 한다. 근육세포막 표면을 따라 가로세관(transverse tubule)이라는 것이 있어 근육섬유를 따라가거나 파고든다. 이는 근육세포질그물(sarcoplasmic reticulum)과 연결되어, 근육세포막과 근육세포질그물을 서로 연결한다. 

근육섬유의 안쪽은 근육세포질(sarcoplasm)이라 하며 근육섬유의 끝을 서로 연결시키는 실 모양의 근육원섬유(myofibril)를 다수 가지고 있다. 근육원섬유는 액틴 잔섬유(actin myofilament)와 미오신 잔섬유(myosin myofilament)라는 두 종류의 단백질 섬유이다. 이들은 반복적으로 배열되어 근육원섬유마디(sarcomere)를 이루고 근육원섬유를 연결한다.

 

액틴 잔섬유와 미오신 잔섬유

얇은 잔섬유는 액틴, 트로포닌, 트로포미오신의 3가지 성분으로 구성된다. 액틴은 미오신 잔섬유가 붙게 되는 곳이다. 트로포닌(troponin)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액틴 잔섬유에 부착되어 있으며 칼슘이 결합되는 부위이다. 트로포미오신(tropomyosin)은 실처럼 꼬인 액틴 잔섬유의 고랑을 따라 위치하며, 자극받지 않은 근육에서 미오신 잔섬유가 액틴 잔섬유와 결합하는 부분을 막는다. 

 

칼슘의 유무에 따라 액틴 잔섬유의 미오신 부착부의를 노출시키냐 안시키냐를 결정하게 되는데, 칼슘이 있을 경우에는 칼슘이 트로포닌과 결합해 트로포미오신을 잡아당겨 노출되게 된다. 칼슘이 없을 경우 미오신 부착부위를 덮고 있다.

 

두꺼운 미오신 잔섬유는 여러 개의 골프채를 모아놓은 모양을하고 이 골프채의 끝부분을 미오신 머리라고 한다. 미오신 머리는 3가지 기능을 하는데, 각 미오신 잔섬유는 액틴 잔섬유의 부착부위와 결합될 수 있다. 수축하는 동안 미오신 머리가 굽혀진다. ATP를 사용해 에너지를 방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