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생리학

헝가리 의대를 준비하기 위한 해부생리학16

baeconwithegg 2025. 3. 17. 21:00

이번 주말에 너무 오래 쉬어서 적는 것이 너무 어색하네요. 16일차인데 오랜만에 적다보니 오늘 내용이 좀 긴것 같습니다.

 

3.5 세포질 속 소기관들

 

핵(nucleus)은 세포 중앙에 위치하는 세포소기관이다. 모든 세포는 이를 가지고 있으며, 예외적으로 적혈구의 경우 성숙된 세포가 될 경우 핵이 없어진다. 공간이 좁은 2가지 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핵막(nuclear envelope)의 여러 곳에서는 속막과 바깥막이 서로 합쳐져 핵구멍(nuclear pore)을 형성한다.

 

사람의 세포는 23쌍의 DNA와 단백질로 구성된 염색체(chromosome)가 들어있다. 염색체는 대부분의 일생동안 느슨하게 꼬여있는데, 이를 염색질(chromatin)이라 한다. 

 

각 개인의 구조와 기능별 특징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는 DNA의 일부분이며, 유전자는 단백질의 구조를 결정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유전자는 세포 구조와 기능을 총괄한다.

 

핵소체(nucleolus)는 핵 안에 있는, 둘러싸는 막 없이 분산되어 있는 물체이다. 대부분 하나의 핵 속에 여러개가 들어있고, 이러한 핵소체에서 리보소체의 소단위들이 만들어진다.

 

세포질에서 단백질 생산 - 핵구멍을 통해 핵과 핵소체로 이동

이 단백질이 "리보소체 리보핵산"(ribosomal ribonucleic acid, rRNA)와 합쳐진다. rRNA는 핵소체에서 생산되고 리보소체의 소단위를 결정한다. 

 

리보소체

리보소체(ribosomes)는 단백질의 합성이 일어나는 소기관이다. 자유 리보소체는 세포질 내에 떠다니는 상태로 있으며, 세포질그물의 막에 결합된 형태도 있다. 

 

과립세포질그물과 무과립세포질그물

세포질그물(endoplasmic reticulum, ER)은 바깥쪽 핵막에서 세포질로 확장되어 있는 막의 연속이다. 과립세포질그물(rough ER)은 리보소체가 결합한 세포질그물이다. 반면 리보소체가 붙지 않은 세포질그물은 무과립세포질그물(smooth ER)이라 한다. 이는 세포에서 지질을 합성하는 장소이다. 골격근세포에서 무과립세포질그물에는 칼슘 이온이 저장되어 있다.

 

골지복합체

골지복합체(Golgi apparatus)는 막으로 둘러싸인 작은 휘어진 주머니(소낭)들이 밀접하게 중첩된 더미로 구성되어 있다. 골지복합체는 물질들을 농축하고 변형하여 포장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예시로는 리보소체에서 합성된 단백질은 세포질그물로부터 골지복합체로 이동하게 된다. 골지복합체에서는 이를 농축하며, 필요에 따라서 탄수화물, 지질분자 등과 같은 것과 결합하면서 단백질을 화학적으로 변형시킨다. 이런 단백질들은 분비소포에 쌓이게 되고, 결국 골지복합체의 가장자리에서 떨어져 나간다.

 

-----단어----

핵: nucleus
핵막: nuclear envelope
핵구멍: nuclear pore
염색체: chromosome
염색질: chromatin
리보소체 리보핵산: ribosomal ribonucleic acid, rRNA
리보소체: ribosomes
세포질그물: endoplasmic reticulum, ER
과립세포질그물: rough ER
무과립세포질그물: smooth ER
골지복합체: Golgi apparatus